[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태양광발전사업주가 증가하고, 이들이 오랜 시간 발전소를 운영함에 따라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모니터링은 점차 그 중요성을 높여가고 있다. 장기간 외부에서 자연재해 등 각종 환경요건에 노출되는 태양광발전소는 초기 구축만으로는 안정적인 운영이 불가능하다.
![]() |
이엘티 엄해일 부사장은 “ESS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태양광발전소에 접목, 사고
발생을 미리 예방하는 예지보전의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
이엘티(ELT) 엄해일 부사장은 “20년 이상의 장기간 수익을 기대하고 진행하는 태양광발전 사업은 적절한 유지관리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급격한 효율 하락과 그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불러온다”며,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모니터링을 통해 장비 이상유무 파악과 지속적인 발전량 관리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수요가 증가하면, 공급도 증가하는 법이다. 국내 태양광 시장에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고려하는 발전사업주가 증가함에 따라 모니터링 공급기업도 증가하는 상황이다. 단순히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유무를 고민하던 사업주들에게 다양한 기업 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선택해야 한다는 또 다른 고민거리가 발생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소 문제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부분이 인버터, 접속함 등이다. 그렇다보니 인버터 공급기업들이 발전량 점검 및 인터뷰 고장여부 확인 정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경우가 잦다. 엄해일 부사장은 이러한 모니터링으로는 발전소 전체의 효과적인 운영관리는 힘들다는 설명이다.
엄해일 부사장은 “발전사업주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급하는 기업들까지도 모니터링을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발전량 점검 정도에만 그치는 모니터링으로는 효과적인 발전소 운영이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엄 부사장은 “이는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모니터링 구축비용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라며, “모니터링 시스템은 태양광발전소 현장의 전반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